생생 진로정보
의사가 꿈이라면, ‘인체의 신비’를 관람하자!

수박씨 친구들은 공연이나 전시회 보러 가는 것을 좋아하나요?
공연이나 전시회는 우리의 한정된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세상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답니다. 근접 거리에서 공연과 전시를 감상하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계기도 만들어준답니다.
이렇게 우리를 새로운 세상과 만나게 해주는 좋은 전시회를 알려줄게요.
특히, 장래희망이 의사이거나 생물에 관심이 있는 친구라면 더욱 관심 있게 보아야 하는 전시회입니다. 의대에 진학하면 전공 필수 과목으로 인체 해부학 및 실습과목을 배우게 되는데요. 인체 해부학은 인체의 구조를 공부하며 기능을 이해하는 토대를 쌓는 과목으로 뼈, 근육, 배설기, 생식기, 소화기, 순환기, 신경기, 호흡기 등의 구조를 강의를 통해 배우게 된답니다.
전시회의 실제 인체 표본은 해부학 책이나 사진으로 보는 인체 모형과는 다릅니다. 실제로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질병, 생리학, 해부학 지식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의대에 가면 배우게 될 학문적 내용도 미리 맛볼 수 있습니다. 내부 장기를 포함하여 인체의 모든 부분의 실제 표본이 전시되어 있어, 인체 모형이 제공할 수 없는 생생한 공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전시를 통해 생명과학에 대해 좀 더 깊이 이해하고 많은 관심을 갖는 기회가 될 것이에요.
그럼 '인체의 신비' 전시회를 살짝 엿볼까요?
1. 인체 표본의 걸작, 전신 표본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한 근육과 관절의 변화, 심지어 뇌 활동까지를 전신 표본으로 전시하고 있어요. 인체 표본들이 역동적인 자세로 근육의 움직임을 보여준답니다.
근육(筋肉)은 힘줄과 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동물의 운동을 맡은 기관입니다. 기능으로 보아 수의근인 골격근과 불수의근인 내장근이 있으며, 구조적으로는 가로무늬근과 민무늬근이 있습니다.
근육이 단 하나의 관절만을 접하고 있을 때를 단관절근이라 하는데요. 이 같은 근육은 한 가지 운동밖에 할 수 없어요. 그 관절을 매개로 두 개의 뼈가 관절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운동만을 합니다.
근육이 두 개 이상 관절과 접하고 있을 때는 다관절근이라 하는데. 이 같은 근육은 접하는 각 관절이 다른 근육의 수축 상태에 의해 어느 정도 고정 또는 가동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일어나는 운동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에 있는 상완 이두근이 수축했을 때 어깨 관절이 다른 근육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 팔꿈치를 구부리는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죠. 아래의 사진과 같이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것도 이와 같은 근육과 관절이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각 신체 기관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학교 생물 시간에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신체 기관을 공부 했을 거에요. 수업 시간에는 어렵게만 보았던 각 신체 기관별 활동을 실제 인체 표본과 설명을 통해 쉽고도 사실적인 체험을 할 수 있어요.
의사가 되면 우리 몸의 구조를 잘 알고 있어야 환자를 진료하고 어디가 아픈지 파악할 수 때문에 각 기관의 위치와 모습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3. 질병이 없는 건강한 삶을 위해
각 신체 계통별 대표적인 질환을 보여줌으로써 질병의 원인과 예방, 건강한 습관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호흡기 계통에서는 건강한 폐와 흡연자의 폐를 비교하고, 소화기 계통에서는 비만의 원인과 그 참혹한 결과를 비롯, 간경화와 지방간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어요. .
그 외 대표적인 질병인 여성암, 동맥, 호흡기, 신장, 관절 질환 및 뼈의 장애 등에 대해서도 알려줘, 건강관리와 예방의 중요성의 깨달을 수 있을 거예요.
▶ 오리지널 인체의 신비
전시 기관 : 2011년 10월 13일~ 2012년 8월 19일
관람 시간 : 오전 10시~오후 6시 (오후 5시 입장 마감)
장소 : 용산 전쟁기념관 기획전시실
-
이번 시간에는 ‘인체의 신비’ 전시를 통해 의사가 되기 위해 우리가 전문적으로 공부해야하는 부분을 살펴 보았습니다.
의사는 전문적인 의료지식 및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 및 장애가 있는 사람과 상해를 입은 사람들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사람입니다. 환자의 증상에 따른 다양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치료방법 및 치료순서를 결정하고, 약물처방이나 외과적인 수술을 시행하는데요. 이런 의사가 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이 해부학, 생리학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입니다.
의사가 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해부학, 생리학의 학문이 자신에게 잘 맞고 잘 해낼 수 있을지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자신에게 잘 맞다면 해부학과 생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분야의 정보나 책도 많이 읽어보도록 해요. 이로써 의사라는 꿈에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생생 진로정보
번호 | 제목 |
---|---|
62 | 사회 계열의 진로 탐색! |
61 | 대학학과 파헤치기 2. 사회계열 |
60 | 공학 계열의 진로 탐색! |
59 | 대학학과 파헤치기 1. 공학계열 |
58 | 자유학기제의 올바른 진로탐색! |
57 | 중학생 진로 설계 가이드 |
56 | 마이스터고 VS 특성화고 |
55 | 미디어 속 직업 탐구 |
54 | 전기전자 공학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진로의 세계 |
53 | 과학수사와 관련된 다양한 직업들 |